Site icon 꾸그 블로그

마인크래프트명령어사용법 – 왕초보를 위한 마크코딩 설명서

목차
  1. 마인크래프트명령어 뜻과 의미
  2. 마인크래프트명령어사용법 – 텔레포트
  3. 마인크래프트명령어사용법 – 게임모드 변경
  4. 사고력을 길러주는 마인크래프트 명령어

Editor 김호승 Career 주니어 플라톤 교사 2년, 마인크래프트 유튜브 [마크호쌤] 운영

1. 마인크래프트명령어 뜻과 의미

마인크래프트는 언뜻 보면 서바이벌과 건축만 하는 단순한 게임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 까닭에 부모님들이나 교과목을 가르치는 선생님들 입장에선 ‘오늘도 내 아이는 게임을 하는구나’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 것이죠.

하지만 마인크래프트를 조금 더 들여다보면 그 안에는 새로운 세계가 열립니다.
바로, 마인크래프트 내에는 명령어라는 것을 이용해 다양한 코딩작업을 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처음에는 저와 함께 하는 아이들이 서바이벌이나 건축에 관한 질문과 그와 관련된 콘텐츠를 만들면서 시간을 보냅니다.

시간이 어느정도 흐르게 되면 아이들이 유튜브와 인터넷 자료를 통해 저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집니다.

‘선생님. 마인크래프트 명령어가 뭐에요?’

혹은 수업 중에 제가 빠르게 명령어를 사용할 때, 명령어를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지 물을 때도 있습니다.
‘명령어 어떻게 쓰는 거예요?’ 라고 말이죠.

그렇다면, 마인크래프트명령어 라는 것은 무엇일까요?

마인크래프트명령어 란?

마인크래프트명령어 는 마인크래프트 안에서 어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하는 텍스트를 의미합니다.

마인크래프트명령어를 활용하면

이처럼 다양한 기능을 명령어라는 기능을 활용해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마인크래프트명령어 가 교육적인 이유

운영자 권한이 있는 플레이어라면 누구든지 마인크래프트 내에서 명령어 를 통해 본인이 필요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건축을 손쉽게 만들어 갈 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게 교육적으로 왜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프로그래밍의 과정과 상당히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프로그래밍이라는 것은 프로그램을 만드는 일을 뜻하고, 이는 컴퓨터에게 내가 원하는 목표나 목적을 달성하도록 일을 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인크래프트명령어 는 이 과정을 게임 내에서 배울 수 있도록 도울 수가 있습니다.

간단한 예시로 아이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텔레포트라는 명령어의 경우, 게임 캐릭터가 먼 좌표까지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 중에 하나입니다.

이를 이용해서 함정맵을 만들 수도 있고, 탈출맵을 설계해 나갈 수도 있습니다.

텔레포트 명령어의 경우 수학적 지식도 함께 얻어갈 수 있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명령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간좌표에 대한 최소한의 직관적인 이해도가 있어야 좀 더 단순한 텔레포트에서 벗어나 개발을 해나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3차원을 이루는 3가지 축 x, y, z에 대한 값을 알아야 하며 좌표 평면에서 움직임에 따라 +와 -에 대한 이해도가 실제적으로 생길 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마인크래프트명령어 를 사용할 수 있는지 주요 예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마인크래프트명령어사용법 – 텔레포트

마인크래프트명령어 창 여는 법

컴퓨터, 노트북의 경우 Enter 키를 입력하면 입력창이 나오고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상단에 있는 가운데 버튼을 눌러 열 수가 있습니다. 닌텐도에서는 오른쪽 십자버튼 위쪽을 누르면 명령어창이 열리게 됩니다.

내가 텔레포트할 위치 정하기

그 후에 ‘/tp @s’ 처럼 누구를 보낼 것인지 해당자를 선택해야 합니다. 보통은 본인을 선생님이나 친구에게 옮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명령어를 반복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는 명령어 블록을 활용해 함정을 설치할 때는 @p만 사용하게 됩니다.

‘/tp @s markhosem’ 이라고 입력을 하게 되면, 나 자신을 마크호쌤에게 이동한다는 명령어로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tp @s 0 0 0’으로 입력하게 될 경우에는 나를 x = 0, y = 0, z = 0에 위치하는 좌표값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함정(용암)으로 텔레포트시키기

이번에는 ‘/give @s command_block’이라고 입력하여 본인에게 명령어 블록을 가져오도록 합니다.
설치를 한 이후에 용암으로 만들어진 함정으로 이동시키는 텔레포트 명령어를 실행해 보겠습니다.

명령어블록을 바닥에 설치한 후, 작은 용암 함정을 옆에 하나 설치하도록 합니다.

용암에 빠트리기 위해서는 용암이 현재 위치해 있는 좌표값을 알아내야 합니다.

여기까지만 보시더라도 명령어가 단순한 글자가 아니며 마인크래프트라는 게임이 상당히 심오하다는 것을 발견하실 수가 있습니다.
분명 게임을 설명하고 있는데 수학공부를 하는듯한 느낌마저 받게 됩니다.

아이들은 이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집중하여 이야기를 듣고, 플레이를 하고 있습니다.

용암탕의 위치값을 알아내기 위해 직접 캐릭터를 용암탕에 들어가 봅니다.

현재 불타고 있는 용암탕의 위치값이 11 -60 7 이라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이 값을 적어둔 후에 명령어 블록에 입력해보겠습니다.

명령어 블록을 클릭하거나 선택한 후에 명령 입력창에 좌표값 3개를 넣어주도록 합니다.

명령어 블록 앞에 감압판을 설치하여 좌표값으로 이동하는 함정을 완성합니다.
그리고 직접 밟아 봅니다.

이동이 완료되면 순간이동을 완료했다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마인크래프트명령어사용법 – 게임모드 변경

이번에 알려드릴 명령어는 텔레포트만큼 아이들이 자주 이용하는 게임모드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마인크래프트에는 총 4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마인크래프트 게임모드

  1. 크리에이티브 (creative) : 자유롭게 모든 블록을 이용해 건축, 설치 및 파괴할 수 있음
  2. 관전 (Spectator) : 세계를 볼 수는 있지만 만질 수 없음
  3. 모험 (adventure) : 캐고 옮길 수 있는 블록과 도구가 정해져 있음
  4. 서바이벌 (survival): 블럭 파괴에 특정 시간이 소요되고 몹들과 싸우며, 배고픔과 레벨이 있음. 체력이 0이 되면 죽음

이 중에서도 아이들이 많이 이용하는 건 크리에이티브 모드와 서바이벌 모드입니다.

게임을 제작하거나 탈출맵을 만들 때 이 두 가지 모드를 만들어 이용하는 경우가 많고, 아이들이 많이 요청하는 명령어이기도 합니다.

게임모드를 변경하는 마인크래프트명령어 입력하기

명령어 창에 ‘/gamemode’라고 입력하면 누구를 어떤 모드를 바꿀 것인지 고를 수가 있습니다.

서바이벌은 survival이라고 입력하거나 0번을 입력하면 됩니다.

크리에이티브는 creative라고 입력하거나 1번을 입력하면 됩니다.

게임모드를 변경하는 명령어 블록 설치하기

이번엔 이를 응용해서 명령어 블록에 입력하여 플레이어가 쉽게 모드를 변경하도록 만들겠습니다. 텔레포트 함정을 만든 것처럼 명령어 블록을 설치하도록 합니다.
설치가 완료 되었다면 명령어 블록을 선택해 명령어를 입력해 보겠습니다.

명령어블록에서는 @s를 이용하여 명령어를 입력할 경우 작동되지 않으니 반드시 @p라고 입력한 후에 진행해야 합니다.

명령어 블록을 설치한 후 감압판이라는 아이템을 앞에 설치하면 반복적으로 필요할 때 모드를 바꿀 수가 있습니다. 밟아 보도록 합니다.

명령어 블록 앞에 있던 감압판을 밟으면 화면처럼 크리에이티브 모드 바뀌고, 메시지가 함께 나타나게 됩니다.

사고력을 길러주는 마인크래프트명령어

마인크래프트명령어사용법 을 배워두면 실제적으로 아이들이 게임 그 이상의 성취감을 맛볼 수가 있게 됩니다.
이번에 알려드린 두 가지 명령어는 단순하지만 개념을 모르면 이용하기가 생각보다 어려울 수도 있는 작업입니다.
마인크래프트 내에는 이보다 더 복잡한 구조로 직접 게임을 구성하거나 맵을 만드는 기능을 활용해 볼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이를 통해 프로그래밍의 가장 기초적인 알고리즘을 배울 수 있고,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울 때 좀 더 쉽게 이해를 하고 적용할 수가 있습니다.

단순한 게임 그 이상의 놀라운 기능을 활용하는 것을 알려주시고 싶다면 언제든지 저와 함께 하시길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마인크래프트명령어를 익히고 미니게임을 직접 만들며 성취감과 코딩적 사고력을 기르는 수업, 김호승 선생님의 온라인 라이브 수업을 만나보세요.

김호승샘과 미니게임 6가지 만들기 수업 살펴보기

마인크래프트 고급, 왕초보 명령어를 모두 정복하자 살펴보기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