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기초 공부습관

초등 기초 공부습관, 겨울방학에 ‘이렇게’ 길러주세요!

목차

  1. 겨울방학, 학교는 쉬어도 성장은 계속됩니다
  2. OO할 수 있다면 이해는 완벽!
  3. 정리 노트, ‘이렇게’ 만들면 안됩니다!
  4. 암기에 있어 ‘반복’이 중요한 이유
  5. 정리와 암기가 쉬워지는 지름길, 마인드맵

Editor 강한성 Career 마인드맵 교육 맵더마인드 대표, 자기주도학습 마인드맵 학습법 코칭 전문가

1년 중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시기인 겨울방학이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부모님들의 마음은 아이들과는 정반대일 겁니다.
식사를 준비하는 것만 해도 만만치 않은 일이니까요.
거기에다 초등 겨울방학 계획을 어떻게 짜야 할지도 고민이실 겁니다.

1. 성장의 발판이 될 수 있는 겨울방학

방학은 학교 수업이 잠깐 멈춰가는 시간입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성장까지 멈춰가는 시간은 아니죠.

아이들이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이 많아지는 방학은 초등 공부습관을 잡기 좋은 시간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게 올바른 공부습관일까요?

사실 올바른 방법은 듣도 보도 못한 새로운 방법들이 아닙니다.
오히려 식상해 보이기까지 해서 간과하기 쉬운 것들이죠.

공부는 이해 → 정리 → 암기 순서대로 하면 됩니다.
이렇게 보면 당연해 보이지만 막상 실천하려고 하면 잘 안됩니다.

저는 고3까지도 이 공식을 제대로 따르지 않아서 수학 점수가 62점에 불과했습니다.
공식대로 하고 나서야 수학 점수를 96점으로 올릴 수 있었죠.

그러면 어떻게 각 단계를 연습하면 좋을지 설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초등 기초 공부습관

2. 이해를 잘했는지 확인하는 방법

이해는 우리가 일상에서 하도 자주 쓰는 단어라서 별거 없어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학생이 스스로의 이해도를 잘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내용이 다 이해가 됐는지 물어봤을 땐 분명히 됐다고 하는데, 내용을 질문하면 대답을 못 하는 경우죠.

이해가 덜 된 상태에서 정리 및 암기 단계로 가는 것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와 같습니다. 고생은 고생대로 한 것 같은데 막상 노력의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자기가 내용을 이해했는지 알 수 있을까요?
아이한테 설명을 해보게 하면 됩니다.
아직 암기가 되지는 않았으니, 교재를 보면서 해도 됩니다.
그렇게 자기가 배운 내용을 명료하게 설명할 수 있다면 그 부분은 이해가 된 겁니다.

만약 이해를 다 못한 경우에는 어떻게 설명할까요?
우선 뭐라고 설명해야 할지 몰라서 우물쭈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교재의 설명을 그대로 읊는 경우도 있죠.

이때는 본인의 언어로 바꿔서 설명해 보도록 요구해야 합니다.
또 이해 없는 설명에는 핵심들이 빠져 있습니다. 설명에 논리가 이상하거나, 개념 설명에 반드시 등장해야 하는 키워드들이 빠진 경우에는 내용 이해가 불충분한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스스로 내용을 다시 읽어보게 하든지, 추가적인 강의를 듣게 하든지 해야겠죠.

초등 기초 공부습관

3. 정리 노트를 만들 때 지켜야 할 대원칙

내용 이해가 끝났으면 본인만의 방식대로 내용 정리를 해야 합니다. 교재 내용을 이해하고 정리를 하지 않는다면 물건을 서랍장 안에 담기만 하고 분류는 하지 않은 것과 같습니다.

양말은 양말끼리, 장난감은 장난감끼리 분류해서 담아야 하듯 지식을 머릿속에 넣을 때는 먼저 정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배운 내용을 정리하는 습관은 초등 공부습관으로 먼저 잡아둬야 합니다. 이때 핵심을 정리해서 넣는다는 대원칙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정리 노트를 만들어 보라고 하면 교과서에 나온 표현 그대로 줄줄이 적는 학생들이 사실 꽤 많습니다. 하지만 효율적인 공부를 위해서 내용을 정리하는 건데 교과서를 그대로 옮겨온다면 큰 의미가 없겠죠.

그래서 세부적인 내용은 생략하고 핵심 위주로 내용 정리를 하는 게 중요합니다. 부차적인 내용들을 생략하는 것과 더불어 긴 문장들을 압축해서 정리하는 연습도 필요합니다.

단, 내용 정리를 할 때 키워드들과 중요사항들을 생략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그런데 뭐가 중요한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수업을 잘 들으면 됩니다. 사실 수업을 안 듣고 교과서를 본다면 어느 부분이 시험 준비에 중요한지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다 외워야 하는 것처럼 느껴지죠.

하지만 수업을 잘 들었다면 선생님께서 어떤 부분에서 설명을 많이 하셨고 어떤 부분은 간단하게 언급 정도만 하고 넘어갔는지 기억이 납니다. 설명이 많이 됐는지 아닌지로 핵심을 구분할 수 있는 것이죠.

이때 유의할 점은 세부 내용들을 정리 노트에 생략했다고 해서 머릿속에서도 생략하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핵심 위주로 정리 노트를 만들고 복습을 하는 것은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서지 그것이 충분해서는 아닙니다.

우리는 정리 노트에서 핵심 내용을 봤을 때 세부 내용까지 머리에 떠오르게끔 만들어야 합니다. 흐름을 이해한 상태라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정리 노트를 만든 후 노트 위주로 복습을 하다가 가끔 교과서나 학습서를 읽어주면 됩니다.
시간이 너무 걸리는 것 아닌가 싶을 수 있지만, 내용 정리가 확실히 된 상황에서 교과서를 읽는 것은 이미 아는 것들을 한 번 확인하는 작업에 가깝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초등 기초 공부습관

4. 지식을 굳히는 암기 방법

사실 정리 단계까지만 거쳐도 학생들은 얼른 문제를 풀고 싶어 합니다. 공부하는 시간 중 문제 푸는 시간이 그나마 가장 재밌기 때문이죠.
하지만 엄밀히 말해서 문제 풀이는 공부가 아닙니다. 얼마나 공부가 잘됐는지를 ‘평가’하는 것이죠.

문제 풀이 전까지의 과정이 공부고, 문제를 푼 후 분석하고 보충하는 과정이 공부입니다.
따라서 아이의 초등 공부습관을 잡아줄 때부터 문제를 풀기 전에 공부를 철저히 하게끔 하는 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암기는 문제 풀이 전에 할 공부의 마지막 단계입니다.

암기를 할 때는 누가 질문하지 않아도 스스로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외워야 합니다.

영단어 20개를 외운다고 한다면 누가 옆에서 “Teenager은 무슨 뜻이야?” 이렇게 물어보지 않아도 단어장을 안 보고 “Teenager, 십 대” 이런 식으로 혼자 줄줄이 읊을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죠.
이 수준까지 가는 게 쉽지는 않습니다. 뭔가를 외울 때는 계속해서 미니 테스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Teenager가 무슨 뜻이었지? 십 대.”

“십 대가 영어로 뭐였지? Teenager.”

“내가 오늘 무슨 단어를 외웠지? Teenager 십 대.”

단순히 읽기나 쓰기를 반복한다고 암기가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런 식으로 계속해서 입력하고, 테스트하고, 안 되면 다시 입력하고 테스트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암기가 됩니다.

또 암기를 할 때 벼락치기로 외우는 것이 아니라 여러 날에 걸쳐 암기를 하는 게 중요합니다. 우리가 뭔가를 암기한 첫날에는 지식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고 놀이기구를 탄 것과 비슷합니다. 아직 불안정해서 확실히 나의 지식이 됐다는 느낌이 들지 않죠. 

하지만 암기를 한 후 잠을 자고 나면 본인의 지식이 되었다는 느낌이 듭니다. 뇌가 암기한 지식이 머릿속에 잘 남아있을 수 있게 정리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시험에 대비할 때는 벼락치기를 자제해야 합니다. 3일 이상의 시간을 두고 매일 암기를 반복하며 지식을 굳혀야 문제를 풀 때 흔들림이 없게 됩니다.

겨울방학

5. 정리와 암기에 도움이 되는 마인드맵

오늘은 겨울방학에 잡아두면 좋은 초등 공부습관 3단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말만 들으면 쉬워 보여도 막상 공부에 적용하려고 하면 잘 안되고 바로 문제에 손이 가는 게 사실입니다.

아이들이 문제를 풀기 전에 스스로 공부를 충분히 하는 습관이 생기기 전까지는 옆에서 지속적으로 코칭을 해주어야 합니다.

마인드맵

저도 처음에는 이해 → 정리 → 암기로 이어지는 사이클을 따르지 않았습니다.
교과서 3회독 공부법을 사용했었는데, 지금 보면 이해 정도만 간신히 한 상태로 시험을 치렀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마인드맵을 그리기 시작하자 정리와 암기가 되기 시작하며 성적이 올랐습니다.
학습 내용을 마인드맵으로 시각화하면 복잡한 내용이 명쾌하게 정리된 기분이 들고, 암기를 할 때도 단순 텍스트를 암기하는 것보다 더 쉽게 됩니다.

비문학을 마인드맵으로 바꾸는 노하우가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수업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강한성 선생님의 비문학 마인드맵 그리기 수업 신청하러 가기!